value. quality care. convenience.
[건강보험]
[자동차보험]
[산재보험]
진료기관
다이어트
비만
건강한 아름다움!!!
비만은 외적 아름다움 문제만 아니라 각종 질환과 성인병을 유발하는 건강의 최대 적
한의약 다이어트는 살을 빼는 것뿐만 아니라 인체의 균형과 건강회복까지 생각한다.
왜 살이 찔까?
섭취한 영양분이 다 소모되지 않고 남아돌기 때문
유전, 과식, 잘못된 습관, 스트레스, 운동부족, 호르몬 이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만성피로, 호르몬 불균형, 대사장애(소화 장애), 수면 무호흡, 불임(성적 능력 저하, 불감증), 우울증, 불안장애, 성인병(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중풍) 유발
한의 비만 치료
단순히 날씬해지는 것만 아니라 인체의 균형과 건강을 생각해 근본적으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아름다운 몸매를 만드는데 효과적
날씬한 마른 비만
체지방률이 여성은 30%, 남성은 25% 넘을 경우
요요현상 방지
다이어트로 감량된 상태에서 살 빠지는 현상이 주춤해지면서 운동이나 다이어트 포기하면 이전보다 몇 배로 살이 찌게 되는 yoyo현상을 막기 위해 체중감량 정체기에도 일정기간 지속 관리 필요
덴마크 국립 병원 치료용 식단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를 최대한 줄이면서 근육 손실을 막는 저열량 식단으로 효과적 체중감량
일정
1일
아침 - 삶은 계란 3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옅은 커피
점심 - 삶은 계란 3개, 토스트 1장, 커피
저녁 - 삶은 계란 3개, 야채 샐러드, 커피
2일
아침 - 삶은 계란 1개, 자몽 1개, 커피
점심 - 삶은 계란 2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커피
저녁 - 소고기 스테이크, 토마토, 샐러리, 양상추, 커피
3일
아침 - 삶은 계란 1개, 자몽 1개, 커피
점심 - 야채 샐러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커피
삶은 계란 2개, 양고기, 샐러리, 토마토, 양상추, 커피
4일
아침 - 삶은 계란 1개, 자몽 1개, 커피
점심 - 야채 샐러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커피
저녁 - 삶은 계란 3개, 시금치 나물, 커피
5일
아침 - 삶은 계란 1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커피
점심 - 삶은 계란 3개, 시금치 약간, 토스트 1장, 커피
저녁 - 생선, 야채 샐러드, 토스트 1장, 커피
6일
아침 - 삶은 계란 2개, 자몽 1개, 토스트 1장, 커피
점심 - 과일 샐러드(단 통조림은 제외)
저녁 - 소고기 스테이크, 토마토, 샐러리, 양상추, 커피
7일
아침 - 삶은 계란 2개, 자몽 1개, 커피
점심 - 차갑게 구운 닭고기, 토마토, 자몽 1개, 샐러리, 커피
저녁 - 야채 수프(토마토, 당근, 양파, 양배추), 닭고기, 토마토, 익힌 양배추, 샐러리, 자몽 1개, 커피
1.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는다.(당도낮은 사과등 저지방 유산균 요구르트와 함께섭취)
2, 하루에 물은 2리터 정도 마신다.
3. 홍차, 커피나 당분이 첨가된 음료수는 절제한다.
4. 녹말이(빵) 만이 들어간 음식은 1주일에 2번이하로 제한한다.
5. 붉은살 육류는 1주일에 한번이하로 제한한다.(육류나 생선은 기름에 튀긴것보다 훈제나 구운것을 섭취)
6. 매일 과일과 야채, 콩류 섭취를 한다.
7. 기름기 많은 생선(연어, 고등어) 많이 섭취한다.
8. 술은 절제한다.
9. 식사량을 갑자기 줄이지 않는다.
10. 따듯한 물을 자주마신다.
11. 섭취열량 줄이고 권장식사량의 60~70% 섭취한다.
12. 매일 한시간씩 운동으로 열량을 소모하여 기초대사율을 높인다.(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병행)
달걀 샐러드
재료(1인분)
로메인레터스 작은 것 5~6잎, 달걀 1개, 토마토 ½개, 올리브 2개, 앤초비 2개, 소스(올리브 오일 ½큰술, 식용유 1큰술, 식초 ½큰술, 소금 약간, 씨겨자 1큰술, 다진 마늘 약간)
만들기
1. 달걀은 8~10분정도 삶아낸 다음 찬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기고 반으로 자른다.
2. 로메인레터스는 씻어서 물기를 뺀다. 토마토는 0.5㎝ 두께로 썰고 올리브는 반 자른다.
3. 볼에 준비한 재료를 섞어 소스를 만든다.
4. 접시에 로메인레테스, 달걀, 토마토, 오리브, 앤초비를 담고 소스를 얹어낸다.
달걀 요리
1 신선한 달걀을 고르자
신선한 달걀이란 일단 껍질 전체의 결이 곱고 매끈하며 광택이 없다.
윤이 나는 달걀은 오래되서 껍질 부분의 큐티클이 벗겨진 상태이므로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 것. 또 깨트렸을 때 달걀 노른자의 높이가 높고 탄력이 있으며 엷게 퍼지지 않는 달걀이라면 신선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2 올바른 보관법
달걀의 신선함을 최대한 살려주는 온도는 5℃. 습도는 80% 정도. 달걀은 수분이 많아서 저장 중 온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식품이기 때문에 냉장고에 보관했다고 무조건 안심하는 건 금물. 냉장고의 보존 기간은 3~5주 이내로 잡는게 좋다.
또 달걀이 계속 호흡 할 수 있도록 뾰족한 부분이 밑으로 향하게 해서 보관하고 호흡하면서 냄새가 밸 염려가 있으므로 강한 냄새의 음식과 함께 두지 않도록 한다.
차 요법
둥굴레(옥죽)차
수분을 생성시켜 주나 갈증을 없애고 피로와 미열, 쉽게 배가 고픈 증상, 얼굴이나 전신의 기미에 좋다.
둥굴레 겉껍질과 마디를 없애고 씻은 후 잘게 썰어 그늘에 말려 사용한다. 둥굴레 20g에 물 300cc를 붓고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아주 약하게 줄이고 물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찌꺼기를 없애고 마신다. 반드시 저녁 금식 후 복용하며 잣 10알을 넣어서 먹으면 더욱 좋다.
대황감초차
습관성 변비로 변이 항상 굳어 있는 경우에 좋다. 어혈을 몰아내 생리통에도 좋다. 체력이 좋은 사람의 변비에 응용하면 좋고 임신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건조시킨 대황을 깨끗이 다듬어 사용한다. 대황 5g과 감초 1g을 용기에 넣고 물 500cc를 넣은 후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10분 후 찌꺼기를 없애고 하루 3회에 나누어 마신다.
욱리인차
대장과 소장을 윤택하고 매끄럽게 하여 굳은 변비를 소통케 하고 체내 과잉수분의 적체를 해소하는 좋은 약이다. 오래된 변비와 소변이 시원치 않고 자주 붓는 경우에 쓰면 좋다. 허약 체질과 임신부는 피한다.
깨끗이 다듬어 잘 씻은 후 그늘에 말려서 적당량을 빻은 후 사용한다. 욱리인 4~8g에 물 500cc 정도를 붓고 끓기 시작하면 5분 후 찌꺼기를 없애 1일 3회에 나누어 공복에 마신다. 도인 4g, 행인 4g, 백자인 4g을 넣으면 더욱 좋다.
야생사과(산사)차
비장과 위장을 도와 소화를 촉진한다. 특히 기름진 먹거리이나 육식의 소화에 탁월하다. 또 혈액에 들어가 뭉친 어혈을 풀어내고 통증을 억제한다. 볶아서 쓰면 설사에 좋다. 혈압을 내려 고혈압 환자에게 좋다. 또한 이질균을 억제하고 소화장애로 인한 트림, 설사, 식체로 인한 요통 등에 효과가 있다. 콜레스테롤과 혈중 지질을 제거해 혈액을 맑게 해주는 효능도 있다.
깨끗이 다듬어 씨를 없앤 산사 8~12g과 물 500cc을 넣고 끓여 절반으로 줄어들면 1일 3회에 나누어 마신다. 단, 위산과다인 경우는 쓰지 않는다.
율무(의이인)차
칼로리가 낮고 이뇨작용을 돕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있어 주로 당뇨병 환자들이 다이어트 식품으로 애용한다.
깨끗하게 씻어 말린 의이인 1.5kg을 살짝 볶아 분말로 만든 후 약 45g씩 뜨거운 물에 타서 차로 마신다. 한달간 매끼 식사 전에 복용하면 식욕도 크게 감소되고 혈액도 맑아져 월 1kg 내외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체감차
의이인 10g, 갈근, 방기, 황기, 감초를 각각 5g씩 합해 물 8백ml에 넣고 40분쯤 끓인 후 이를 3등분하여 복용한다. 1일 3회 식후 1시간마다 복용하면 속이 더워지고 소화력이 향상되면서 변비 증세도 없어진다. 식욕도 떨어져 월 2kg 정도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민간식
가물치(예어) 소금이나 간장을 넣지 않고 끓여서 끼니마다 먹거나 회를 쳐서 먹어도 좋다. 이뇨작용이 있으므로 조직 사이에 있는 물을 몸밖으로 내보내어 몸무게를 줄인다.
호박 잘게 썰어서 짓찧은 다음 즙을 내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호박을 국이나 쪄서 먹어도 좋다. 이뇨작용이 있으므로 몸무게를 줄인다.
둥굴레, 흰솔뿌리혹(백복령), 마 둥굴레 20g, 흰솔뿌리혹 5g, 마 2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배고픈 감이 심할 때 먹으면 배고픈 감을 모른다.
잣(해송자) 9-12g을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전에 먹는다. 잣씨알죽을 쑤어 먹어도 좋다. 잣씨에는 리놀산을 비롯한 식물성 지방이 대단히 많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중성 지방을 비롯한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비만한 사람들이 먹으면 몸무게를 줄일 수 있다. 잣에는 단백질도 일정한 정도 있으므로 몸이 허약해지지 않으면서 몸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생강, 끼무릇(반하) 생강 4g, 끼무릇 12-18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갈라 먹는다.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한 데 쓴다. 생강, 끼무릇은 구토멎이작용, 방향성 건위작용이 있다.
황련(깽깽이풀) 잘게 썬 것 20-3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갈라 끼니 전에 먹는다. 위열로 입 안이 마르고 명치 밑이 트직한 데 쓴다. 쓴맛건위작용, 소염작용이 있다.
조피열매, 오수유 잘게 썬 것 각각 8-12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갈라 끼니 뒤에 먹는다. 명치 밑이 느직하고 배가 찬 데 쓴다. 조피열매, 오수유는 방향성 건위작용이 있다.
지실(탱자열매) 지실을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가루낸 것을 한번에 7-8g씩 하루 2-3번 미음에 타서 아무 때나 먹는다. 가슴이 답답하고 명치 밑이 트직한 데 쓴다.
부추 잎으로 양념을 잘하여 찬으로 많이 먹거나 40-50g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덥게 하여 먹는다.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입맛이 없는 데 쓴다.
약선요리
한의학적으로 비만의 원인을 알아내어 소화기관의 흡수능력을 떨어뜨려 식욕을 억제시키거나,신진대사가 빨리 이뤄지게 유도하면서 대·소변의 배설기능을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체내에 노폐물이 쌓이지 않게 막아주는 방법도 도움이 된다.
비만치료 및 예방을 위한 먹거리는 체질에 따라 다르다.예컨대 식욕이 너무 좋고 먹어도 계속 배가 고픈 성향의 태음 체질에겐 ‘율무죽’이나 ‘율무차’가 좋다.반면에 성격이 직선적이고 행동도 민첩한 소양인에겐‘복령택사죽’이 좋다.또한 평소 소화기능이 약하고 몸이 자주 붓고 찬 소음인에겐 ‘대복피후박죽’이 권장된다.
율무죽 반나절 정도 물에 불린 율무 30g을 쌀 1백g과 함께 섞어 죽을 쑨다.밥 대신 먹되,변비가 심한 사람은 피한다.
복령택사죽·대복피후박죽 복령 15g과 택사 15g,혹은 대복피 15g과 후박 15g을 따로 1∼2시간 달여서 우려낸 물에 쌀 1백g을 넣어 죽을 쓴다. 밥 대신 먹는다.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게 하는 방법[ 穀絶食方]
흉년이 들어 식량이 귀한 때와 먼 곳에 가서 밥을 지어먹기가 불편한 때와 도를 닦으러 다니면서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할 때 쓰면 좋다. 검정콩[黑豆] 5되를 일어 씻어서 3번 쪄서 햇볕에 말려 껍질을 버린 다음 가루 낸다. 그리고 역삼씨[大麻子] 3되(5되라고 한데도 있다)를 끓인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3번 터지게 쪄서 껍질을 버리고 가루 낸다. 이것들을 함께 찹쌀죽에 반죽하여 주먹만하게 단자[團]를 만들어 시루에 넣고 해질 무렵부터 밤 11시 또는 새벽 1시까지 찐다. 이것을 새벽 3-5시에 꺼내서 사기그릇에 담고 바람에 마르지 않게 뚜껑을 막아둔다. 한번에 1-2덩어리씩 배가 부르도록 먹고 일체 다른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한번 먹으면 7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고 2번 먹으면 49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으며 3번 먹으면 1백 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고 4번 먹으면 영영 배가 고프지 않고 얼굴이 고와지면서 여위지도 않고 피곤해지지도 않는다. 만일 갈증이 나면 역삼씨즙을 먹어서 장부(藏府)를 자양[滋]하고 눅여주어야[潤] 한다. 만일 무엇을 먹고 싶을 때에는 아욱국을 먹어서 풀거나 아욱씨(규자) 3홉을 짓찧어 달여서 식혀 먹으면 좋다.
○ 다른 한 가지 처방에는 흰솔풍령 200g이 들어있다[류취].
천금초(千金 )
꿀 1,200g, 흰밀가루 3,600g, 참기름 1,200g, 흰솔풍령(백복령) 160g, 감초 80g, 생강(껍질을 버린 것) 160g, 건강(싸서 구운 것) 80g.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고루 버무려 섞어서 시루에 넣고 찐다. 이것을 그늘에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찬물에 타 먹으면 1백 일 동안 배가 고프지 않다. 이 가루를 명주주머니에 넣어두면 10년을 둬둘 수 있다[류취].
음식을 먹지 않고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처방[ 穀不飢方]
단국화(감국), 휜솔풍령(백복령), 황랍, 송진, 꿀(봉열) 각각 같은 양.
위의 약 가운데서 황랍과 꿀을 내놓고 가루 낸다. 그 다음 먼저 꿀을 끓이다가 여기에 황랍과 약가루를 넣고 잘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끓인 물로 넘긴다[류취].
피난대도환(避難大道丸)
검정콩(흑두, 껍질을 버린 것) 1되, 쇠고비(관중), 감초 각각 40g 솔풍령(복령), 삽주(백출), 사인 각각 20g.
위의 약 가운데서 콩을 내놓고 썬다. 다음 콩과 약을 물 5잔에 넣고 약한 불에 물이 다 졸아들도록 달여서 약을 가려내고 콩만 풀지게 짓찧어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사기그릇에 담고 잘 덮어둔다. 한번에 1알씩 씹어 먹고는 곧 풀이나 나뭇잎을 마음대로 먹으면 하루종일 배가 부르다. 비록 평소에 알지 못하던 이상한 풀이나 나무를 먹어도 중독 되지 않고 달고 맛있기가 밥 먹는 것 같다.
○ 또 한 가지 처방은 검정콩 1되, 쇠고비[貫衆] 600g으로 되어있는데 잘게 썰어서 콩과 함께 넣고 고소한 냄새가 나고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저으면서 달인다. 다음 키로 쇠고비(貫衆)를 까불어 버리고 검정콩만 하루 5-7알씩 빈속에 먹는다. 그 다음에는 풀이나 나뭇잎을 마음대로 먹어도 괜찮다. 그 다음 생선, 고기, 나물, 과실과 끓인 물을 먹지 않고 며칠 지나면 다시는 음식 생각이 없다[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