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피신경전기자극의 유형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conventional TENS, HiF-LoI TENS)을 비롯하여 저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acupuncture-like TENS, LoF-HiI TENS), 고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brief intense TENS, HiF -HiI TENS), 돌발 경피신경전기자극(burst TENS), 변조 경피신경전기자극(modulation)의 유형이 있다.
① 고빈도- 저강도 경피신경자극
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전통적으로 흔히 사용하던 방법으로 75-125pps 또는 80-120pps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100㎲이하로 짧게 하며, 최소 가시수축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낮은 강도로 자극한다. 전기자극 10-20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0-30분 정도 지속되어 비교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급성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② 저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저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은 10-20pps 이하 대개는 1-4pps 의 낮은 맥동빈도를 사용하여 맥동기간을 길게 하고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주로 심부통증 및 만성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엔돌핀의 분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자극 20-30분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6시간 정도 지속되어 비교적 진통유발이 느리지만 진통지속시간이 길다. 만성 통증을 사용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③ 고빈도-고강도 경피신경자극
고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은 150pps 이상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200㎲ 이상으로 하며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근수축이 일어나도록 매우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전기자극 5-15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기자극하는 동안 진통작용이 지속되어 비교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통증을 매우 빠르게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감각신경을 역행자극해야 하므로 통증부위의 근위부, 통증부위의 주위 또는 통증부위를 가운데 두고 교차배치하여 치료한다.
④ 돌발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돌발 경피신경전기자극은 맥동을 돌발시킨다. 맥동기간을 다양하게 선택하고 맥동변조시간도 조절할 수 있다. 급성통증 및 표면부 통증은 강한 강도로, 만성통증 및 심부통증은 낮은 강도로 자극한다.
⑤ 변조 경피신경전기자극
근래에 맥동빈도, 맥동기간, 강도를 변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조 경피신경전기자극기가 나오고 있다.